조명 제어는 단순하게 텀블러 스위치를 이용하여 On/Off만 하는 것 부터 시작하여 고도의 제어가 가능한 것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.아래 그림의 박스를 클릭하면 상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  • Relay를 이용한 Group 단위의 On/Off 제어
  • 유선방식
  • 무선방식 ( WiFi, ZigBee, BlueTooth...)
  • Broadcast 방식
  • CPLC 방식

릴레이 제어

조명을 제어할 경우 릴레이를 사용하여 On/Off 만 제어하는 방식
- LCP (Lighting Control Panel) 에 설치된 릴레이에 각 회로를 연결
- 스위치는 등기구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통신에 의해 릴레이를 제어
- 각 회로는 공사 시에 결정
- 스위치의 각 버튼에는 원하는 회로를 할당 가능
- 파티션 변경 등에 의해 화로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별도 공사가 필요
- 원격 제어 가능

DALI, RS-485 등 별도의 통신선을 이용하는 방식

개별로 통신선을 보내지 않고, 한 개 의 통신선으로 여러 대의 등기구와 통신하는 방식
- 전원선 이외의 통신선이 필요
- DALI 를 비롯한 대부분의 조면제어시스템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
- 별도의 통신선 시공이 필요
- 시공비 상승
- 기축건물에의 적용 곤란
- 유지보수의 어려움

Zigbee 등 무선을 이용하는 방식

RF를 이용하여 등기구와 통신하여 조광 제어하는 방식
- LCP (Lighting Control Panel) 에서 각 방의 Gateway 까지는 LAN등 유선으로 통신 (LCP에서 각 방까지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어려움)
- 각 방의 Gateway 와 등기구에 내장 또는 외장된 무선 수신장치와 무선으로 통신 (등기구 또는 SMPS에 무선 수신부를 내장할 경우 통신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통상적으로는 수신부를 별도의 장치로 하여 노출시키는 경우가 많음)
- 수신부의 대기전력문제, 무선 수신부의 성능을 위해서는 등기구의 디자인에 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가 있음.
- 통신의 음영 발생
- EPS실에서 각 방까지는 별도의 유선 통신 수단 필요
- 안테나가 금속으로 차폐되면 통신이 어려워짐 > 안테나는 노출 되어야 함 > 등기구의 디자인에 영향

Broadcast 방식의 전력선통신

Broadcast방식의 PLC의 원리 및 문제점
- 통신하려 하는 데이터를 높은 주파수의 케리어에 실어서 계통에 Broadcast하는 방식
- 이 데이터를 탑재한 케리어는 통신 대상이 아닌 다른 기기에는 노이즈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레벨을 크게 할 수 없다.
- 또한 다른 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다.
- 인접한 다른 부하의 입력단에 콘덴서가 있는 경우 높은 주파수의 케리어는 신호가 감쇄하여 통신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.

폐회로 방식의 전력선통

폐회로 전력선통신 (CPLC : Closed Circuit Power Line Communication)방식
- 폐회로 전력선 통신은 제어부를 경유하는 폐회로 안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.
- 폐회로 밖에 있는 기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도 않고,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.
- 또한 당사의 폐회로 통신 방식은 신호를 변조하지 않는 독특한 방식이며 실질적으로 통신거리에 제한이 없다.
- 회로가 매우 간단하여 실장면적이 작고, 저렴하며, 무엇보다 통신의 신뢰성이 높다.
- 속도는 저속이지만 조명을 제어하기에는 충분한 속도 (1초에 5~10번의 제어가 가능)이다.